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BYD(비야디) 주식 사는법 총정리 : ETF부터 홍콩·ADR 매수까지

by 맘쓰경제 2025. 4. 15.

BYD 주식 사는법 요약 이미지 썸네일
BYD(비야디) 주식 사는법 총정리

 

BYD(비야디)는 중국 전기차 시장을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테슬라와 1,2위를 다투고 있는 기업입니다. 전기차뿐 아니라 배터리, 반도체까지 아우르는 수직 계열화를 통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BYD 주식을 어떻게 사야 하는지, ETF vs 직접 투자 vs ADR 방식의 차이점, 최신 실적과 주가 전망, 그리고 투자 시 유의할 리스크까지 총정리해 드립니다.


목차

1. BYD는 어떤 회사인가?

2. 한국에서 BYD 주식 사는 방법 2가지

  1) ETF를 통한 간접 투자 (초보자에게 추천)

  2) 홍콩 주식 직접 매수 (직접 투자자용)

  3) ADR을 통한 미국예탁증서 투자

3. BYD 주가 및 전망

4. 결론: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선택하세요.


1. BYD는 어떤 회사인가?

BYD( Build Your Dreams)는 1995년 중국 선전에서 설립된 기업으로, 전기차·배터리·반도체를 통합 생산하는 중국 최대 전기차 제조사입니다. 2024년 기준, 전 세계 전기차( BEV + PHEV 합산) 판매량 1위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자사 배터리 기술인 ‘블레이드 배터리’를 중심으로 높은 안전성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BYD 매출 및 실적 (2024년 기준)

  • 연매출 : 약 6,048억 위안 (한화 약 113조 원)
  • 영업이익 : 약 415억 위안 (한화 약 7.8조 원)
  • 전기차 연간 판매량 : 약 302.4만 대
  • 시가총액 : 약 8,000억 홍콩달러 (약 140조 원)

BYD는 승용차 외에도 전기버스, 전기트럭,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친환경 모빌리티 전반에 걸쳐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 한국에서 BYD 주식 사는 방법 2가지

1) ETF를 통한 간접 투자 (초보자에게 추천)

BYD는 여러 중국·글로벌 전기차 ETF에 포함되어 있어 원화 투자로도 접근이 가능합니다.  분산 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어 초보자에게 적합한 방법입니다. 

 

 BYD 편입 ETF 예시

  • TIGER 차이나전기차 SOLACTIVE : 국내 상장 / BYD 비중 약 7%
  • iShares MSCI China A ETF (CNYA) : 미국 상장 / BYD 비중 약 1.7%
  • KraneShares EV & Mobility ETF (KARS) : 미국 상장 / BYD 비중 약 4.5%

다만 ETF는 BYD 단일 종목의 성과보다, 중국 전기차 시장의 성장 흐름에 따라 수익이 결정됩니다. BYD 자체의 주가 상승만으로는 ETF 수익률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2) 홍콩 주식 직접 매수 (직접 투자자용)

BYD는 홍콩증권거래소(코드: 1211.HK)에 상장된 종목으로, 홍콩 달러(HKD)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직접 매수 절차

  1. 해외 주식 거래가 가능한 증권사에서 계좌 개설 (키움, 미래에셋, NH 등)
  2. 홍콩 주식 거래 신청 (별도 신청)
  3. 원화를 홍콩 달러(HKD)로 환전 
  4. 1211.HK 코드를 검색하여 BYD 주식 매수 

BYD의 최소 매수 단위는 일반적으로 500주(60,550 HKD, 한화 약 1,060만 원)입니다. 이는 홍콩거래소의 일반적인 거래 방식입니다. 그러나 최근 미래에셋증권, 토스증권,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 등 일부 증권사는 소수점 매매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어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 중국 주식 투자 전반에 대해 알고 싶다면, [중국 주식, A주 B주 창업판까지 정리 – 입문자 위한 중국 증시 가이드] 글을 참고해보세요.

 

3) ADR을 통한 미국예탁증서 투자

BYD의 ADR(미국예탁증서)은 해외 주식계좌만 있다면 미국 달러로 거래가 가능하며, 두 가지 주요 티커가 있습니다. BYDDY은 중국 본토 A주를 기반으로 발행된 것이며, BYDDF은 홍콩 H주를 기초로 한 것입니다. 

티커 거래소 기초 주식 설명
BYDDY OTC Markets A주(002594.SZ) 위안화 A주 기반 ADR, 소액 거래 가능
BYDDF NASDAQ H주(1211.HK) 홍콩 H주 기반 ADR, 유동성 양호

 

BYD 전기차 글로벌 도로 주행 이미지
세계 주요 도시를 배경으로 자율주행 중인 BYD 전기차 이미지

3. BYD 주가 및 전망

2025년 4월 현재, BYD 주가는 약 121.1 HKD (한화 약 21,200원) 수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과 전기차 보조금 정책, 글로벌 시장 수출 확대, 배터리 내재화(블레이드 배터리) 등 성과가 주가 상승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 BYD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

긍정적 요인

  •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 유지
  • 유럽·브라질 등 해외 수출 확대
  • 블레이드 배터리 중심의 기술 경쟁력 강화
  • 반도체·배터리 등 계열사 IPO를 통한 가치 제고

부정적 요인 (리스크)

  • 미국·유럽의 중국산 전기차 규제 강화
  • 위안화 및 홍콩달러(HKD) 환율 변동성
  • 테슬라·샤오미 등 글로벌 경쟁사와의 점유율 경쟁

 2) BYD 투자 시 유의할 점

  • 정치적 리스크 : 미중 무역분쟁, 유럽의 반덤핑 규제 등은 BYD 수출 및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세금 이슈 : 해외 주식의 매도 차익이 연간 250만 원을 초과하면 양도소득세 22% 부과 대상입니다.
  • 환율 리스크 : 홍콩 달러는 미국 달러에 연동되어 있지만, 원화 환산 수익률에 따라 실제 수익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결론: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선택하세요

BYD는 중국의 전기차 시장을 넘어, 글로벌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성장하는 핵심 기업입니다. 한국 투자자도 ETF를 통한 간접 투자, 홍콩 증시 직접 매수, 미국예탁증서(ADR)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BYD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각 방식의 장단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으로 BYD 주식 구매 계획을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