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국 주식, A주 B주 창업판까지 정리 – 입문자 위한 중국 증시 가이드

by 맘쓰경제 2025. 4. 14.

중국 주식 A주 B주 창업판까지 정리한 입문자용 가이드 썸네일 이미지
중국 주식 구조를 쉽게 정리한 입문자용 가이드

 

중국 주식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면 먼저 알아야 할 것이 바로 중국 증시 구조입니다. 한국이나 미국 주식과 달리, 중국 주식시장 구성은 매우 복잡하게 나뉘어 있습니다. 본토 내 상해, 심천 시장뿐 아니라 홍콩 증시까지 연결되며, 그 안에서도 A주, B주 등 다양한 분류가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 주식 투자 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A주 B주의 차이, 그리고 창업판과 커촹반 같은 벤처 시장, 나아가 외국인 투자자 접근 방식까지 정리합니다.


목록

중국 증시 구조 – 상해, 심천, 홍콩의 차이

A주와 B주 차이 – 거래 통화와 투자 대상

선강퉁·후강퉁 제도 – 중국과 홍콩을 연결하는 교차거래

창업판과 커창반 – 중국판 나스닥

중국 주요 지수 정리 – CSI300, 항셍 H지수까지

마무리 – 중국 주식, 어떻게 투자할까?


중국 증시 구조 – 상해, 심천, 홍콩의 차이

중국 증시는 크게 상해, 심천, 홍콩 세 곳으로 나뉩니다.

 

1) 상해증시 : 국유기업이나 대형 기업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공상은행, 페트로차이나, 귀주모태주 등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2) 심천증시 : 상대적으로 중소형 기술주, 혁신기업 비중이 높으며, BOE, ZTE 등 IT 중심의 종목이 포진해 있습니다.

 

3) 홍콩증시 : 중국 본토가 아닌 외부 투자자 접근이 용이한 시장으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텐센트, 알리바바 같은 글로벌 중국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은 서로 다른 통화, 규제, 투자 대상자를 갖고 있어, 중국 주식 투자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선 이 구조를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A주와 B주 차이 – 거래 통화와 투자 대상

중국 본토 증시(상해∙심천)에 상장된 주식은 A주와 B주로 나뉩니다. 같은 거래소(상해∙심천)에서 거래되지만, 기업이 투자 대상자에 따라 주식 종류를 선택하는 구조입니다. 이 둘의 가장 큰 차이는 거래 통화와 외국인 투자자 가능 여부입니다.

 

1) A주

위안화(RMB)로 표시되며 과거에는 중국 내국인 전용이었습니다. 그러나 2002년부터 외국인 기관 투자자(QFII)에 제한적 허용, 2020년에는 외국인 투자 한도가 전면 폐지되어 일반 해외 투자자도 A주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B주
같은 상해∙심천 증시에 상장되지만 상해 B주는 미국 달러, 심천 B주는 홍콩 달러로 거래됩니다. 과거에는 외국인 전용 주식으로 발행되어 내국인은 투자할 수 없었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A주에 대한 외국인 접근이 전면 허용되면서, B주에 대한 역할이 크게 축소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기업은 A주만 발행하며, 일부 국유기업이나 외국인 유치를 목적으로 한 기업들이 B주를 별도로 발행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외국인 투자자도 A주 투자에 제약이 없으며, B주는 과거 제도의 흔적으로 남아 있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강퉁·후강퉁 제도 – 중국과 홍콩을 연결하는 교차거래

중국 증시에는 선강퉁(선전-홍콩 주식연결)과 후강퉁(상해-홍콩 주식연결)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이는 홍콩 증시와 중국 본토 증시 간 주식 교차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이전에는 외국인이 중국 A주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지만, 선강퉁·후강퉁 제도가 도입되면서 홍콩 증시를 통해 A주에 투자하는 길이 열렸습니다. 즉, 여러 나라 글로벌 ETF 운용사들이 중국 본토 A주를 직접 편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 개인 투자자들은 중국 본토 A주를 편입한 ETF를 통해 손쉽게 간접 투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NYA’, ‘TIGER 차이나 CSI300’, ‘KODEX China A50’ 등이 있습니다.

 

창업판과 커창반 – 중국판 나스닥

중국 증시에는 벤처기업 전용 시장도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의 코스닥, 미국의 나스닥처럼 기술 기반 벤처기업이 주로 상장된 창업판하이테크·바이오 기업에 특화된 커촹반(科创板)시장이 있습니다.

 

1) 창업판 : 심천거래소 내 성장 잠재력이 높은 스타트업 위주로 구성된 시장이며, 대표 기업으로 중국 최대 전기차 기업 BYD과 세계 1위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CATL 등이 있습니다.

 

2) 커촹반 : 상해거래소 내 하이테크·바이오 기술 중심 기업을 위한 전용 시장입니다. 대표기업으로 중국 최대 반도체 위탁 생산업체 SMIC와 인공지능 전용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CAMBRICON(캠브리콘)이 있습니다.

 

이들 시장은 변동성이 크고 투자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높지만, 빠른 성장성과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영역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재 외국인도 직접 투자할 수 있으나, 일반 개인 투자자에게는 ETF나 글로벌 펀드와 같은 간접 투자 방식이 보다 현실적이고 접근이 용이합니다.

 

중국 주요 지수 정리 – CSI300, 항셍 H지수까지

중국 주식시장에도 다양한 대표 지수가 존재합니다. 투자자의 관점에서는 이 지수들을 추종하는 ETF를 통해 시장 전반에 투자하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1) 상해종합지수 : 상해거래소 전체 종목을 반영한 대표 지수

2) 심천성분지수 : 심천거래소 대표 종목을 기반으로 한 지수

3) CSI300 : 상해와 심천의 A주 상장 종목 중 우량주 300개로 구성된 핵심 지수

4) 항셍지수 : 홍콩 증시의 주요 종목을 반영한 대표 지수

5) 항셍 H지수 : 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H주) 중심으로 구성된 지수

 

이러한 지수는 ETF 상품으로 연결되어 있어 중국 A주 B주 차이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해도 포괄적 투자가 가능합니다.

 

마무리 – 중국 주식, 어떻게 투자할까?

중국 증시는 구조가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을 이해하면 투자 방향을 쉽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외국인 투자자에게도 A주와 창업판에 대한 직접 투자할 수 있는 길은 열려 있어도, 일반 개인 투자자가 접근하기에는 계좌 개설, 거래 플랫폼 이용 등 여전히 실무적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국내 상장 ETF (예: KODEX China CSI300, TIGER 차이나전기차) 또는 미국 상장 ETF (예: FXI, MCHI, CQQQ)를 통해 간접적으로 중국 증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특히 ISA 계좌를 활용한 중국 ETF 투자는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 혜택이 가능해 절세 측면에서도 효율적입니다.

중국 주식 시장은 세계 경제에서 점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그 구조를 이해하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