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일채움공제 환급금 계산법과 신청 방법 (2025 최신 기준)

by 맘쓰경제 2025. 6. 5.

내일채움공제 환급금, 정확히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 재직자가 5년간 납입을 유지하면 약 3,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중도 퇴사하게 되면 납입 기간과 퇴사 사유에 따라 환급금이 달라집니다. 

 

경우에 따라 본인 납입금만 돌려받거나 전액 손실될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내일채움공제 환급금 계산법, 신청 절차, 그리고 사례별 예상 환급금 비교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중소기업 재직자가 통장을 들고 내일채움공제 해지를 고민하는 모습

 

내일채움공제 환급금 구성은 어떻게 되나요?

 

내일채움공제의 환급금은 본인 납입금과 기업 부담금, 정부 지원금으로 이뤄집니다.

 

  내일채움공제 총금액

항목 납입 주체 월 납입금 5년 총액
본인 납입금 근로자 30만 원 1,800만 원
기업 부담금 기업 2만 원 120만 원
정부 지원금 정부 연차별 차등 최대 약 600만 원

 

만기 시 지급되는 금액(1,800만 원 + 120만 원+ 600만 원 = 2,520만 원)에 정기예금 수준의 이자가 적용되면 약 3,000만 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그러나 중도 해지 시에는 12개월 이상 근속한 경우에만 본인 납입금 환급이 가능합니다. 기업과 정부 지원금은 퇴사 사유와 근속 기간에 따라 일부만 환급될 수 있습니다.

 

내일채움공제 환급금 계산법 : 퇴사 시점별 예시

 

자발적 퇴사와 비자발적 퇴사에 따라 내일채움공제 환급금 계산법은 달라집니다. 아래 예시를 통해 본인의 환급금을 예상해 보세요.

 

✅ 자발적 퇴사 (이직 등 개인 사유)

근속 기간 본인 납입금 환급 가능 금액 비고
8개월 240만 원 환급 불가 기준 미달
13개월 390만 원 390만 원 본인 납입금 전액 환급
24개월 720만 원 720만 원 단, 소득세 공제 있음

 

✅ 비자발적 퇴사 (권고사직, 폐업 등)

근속 기간 총 납입금 환급 금액(예상) 비고
10개월 300만원 300만원 본인 납입금만 환급
14개월 420만 원 약 450만 원 일부 기업·정부 지원금 포함 가능
36개월 1,080만 원 1,300만 원 이상 근속 + 사유 증명 시 지급 확대 가능

 

※ 정부·기업 부담금 환급은 12개월 이상 근속 후 가능하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심사에 따라 결정됩니다.

 

내일채움공제 해지 신청 방법과 절차

 

내일채움공제 해지는 근로자가 직접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내일채움공제 해지 신청 방법

  1.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2. [나의 계약관리] 메뉴 → [해지 신청] 클릭
  3. 퇴직확인서, 해지신청서, 통장 사본 등 제출
  4. (비자발적 퇴사의 경우) 권고사직서, 실업급여 수급 확인서 등 추가 자료 제출
  5. 중진공의 해지 심사 및 환급금 결정 → 환급금 입금 (보통 4~6주 소요)

해지 신청은 퇴사 후 언제든지 가능하나, 가급적 빠르게 하는 것이 환급금 지연을 막는 데 유리합니다. 또한 퇴사 후 5년 이내에 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 환급금 청구권이 소멸될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기한 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내일채움공제 해지 신청하기

 

내일채움공제 환급금 손해 줄이는 방법 3가지

 

1. 12개월 근속은 반드시 채우세요

→ 12월 이내 자발적으로 퇴사할 경우, 본인 납입금도 받을 수 없습니다.


2. 비자발적 퇴사 증빙자료를 준비하세요
→ 권고사직서, 실업급여 수급 내역 등은 환급금 심사에 결정적입니다. 증빙을 통해 본인 납입금 외 정부·기업 지원금도 일부 받을 수 있습니다. 

 

3. 환급금 수령 시 소득세 공제를 고려하세요
→ 실제 입금액은 예상보다 줄어들 수 있습니다.

 

마무리 : 정확한 계산으로 손해를 줄이세요

 

내일채움공제는 장기 근속을 기반으로 설계된 제도이기 때문에, 중도 퇴사 시 손실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환급 기준과 해지 절차를 알고 준비하면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퇴사를 고민 중이라면, 공제금 납입 내역과 퇴사 사유를 먼저 점검하고 내일채움공제 환급금 계산법에 따라 금액을 예상해보세요. 보다 정확한 환급금은 내일채움공제 공식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에 상담을 받아보세요.

 

 

👉 관련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