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신청방법 총정리: 고용24 구직신청부터 고용센터 방문까지

by 맘쓰경제 2025. 3. 25.

고용센터에서 실업급여 신청서를 작성하는 남성
고용센터 내방 후 실업급여 신청 절차를 진행하는 모습


퇴사 후 실업급여 신청 방법, 복잡하고 막막하게 느껴지시나요?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신청을 직접 한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많은 분들이 헤매는 실업급여 신청 과정을 5단계로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실업급여 신청 절차 한눈에 보기

  1. 실업급여 신청 전 피보험 자격 상실 신고 확인
  2. 이직확인서 제출 및 이직 사유 확인 방법
  3. 고용 24 구직신청 방법
  4. 실업급여 온라인 교육 수강 
  5. 고용센터 방문 신청 : 수급자격 신청서 제출

Step 1. 실업급여 신청 전 피보험 자격 상실 신고 확인

먼저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털서비스에서 고용보험 상실 신고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고용보험 상실 신고는 회사(사용자)가 처리하기는 때문에, 퇴사자는 직접 등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퇴사 후 일정 기간이 지나도 상태가 '미신고'로 되어 있다면, 회사 인사 담당자에게 확인 요청을 하셔야 합니다.

 

저의 경우 회사에서 신고한 뒤 10일이 지나도 ‘처리 중’으로 떠서 근로복지공단 고객센터(1588-0075)에 문의했습니다. 이유는 전산 오류로 승인 지연된 것이었고 문의 후 바로 승인처리가 되었습니다. 보통은 신고 후 3~5일 내 처리가 정상이니, 오랫동안 지연될 경우 꼭 확인하세요.


Step 2. 이직확인서 제출 및 이직 사유 확인 방법

다음은 고용 24 홈페이지에서 이직확인서가 정상적으로 제출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직확인서 확인 방법

이직확인서는 회사가 고용보험 시스템에 등록하는 문서로, 실업급여 수급 자격 심사에 가장 핵심이 되는 서류입니다. 특히 중요한 부분은 이직 사유 코드가 ‘임금체불(02)’로 정확히 기재되었는지 여부입니다. 이직확인서에 '02. 임금 등의 체불 또는 지연지급이 계속되어 이직한 경우’로 기재되지 않으면 비자발적 퇴사로 인정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즉, 실업급여를 수급받기 힘듭니다. 만약 이직 사유가 단순 자진퇴사(코드 10번 등)로 기재되어 있다면, 회사에 사유를 정정해 줄 것을 요청해야 합니다. 

고용24에서 이직확인서 처리 현황과 이직사유 코드 확인
실업급여 신청을 위한 이직사유 코드 확인 방법 – 이직확인서 제출 여부 확인

이직확인서 제출 요청 방법

이직확인서가 조회되지 않는다면, 아직 회사에서 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아래 방법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1)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제출

  - 근로자가 직접 작성하여 메일, 팩스, 우편 또는 방문으로 회사에 전달

 - 회사는 요청일로부터 10일 이내에 이직확인서를 발급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서 다운로드

 

2) 고용센터에 요청

 - 회사가 제출을 계속 지연하거나 거부하는 경우, 관할 고용센터에 연락하면 고용센터가 회사 측에 공식적으로 제출 요청을 진행해줍니다.


Step 3. 고용24 구직신청 방법

피보험 자격이 상실되었고 이직확인서도 올바르게 발급이 됐다면, 구직신청을 해야 합니다. 과거에는 워크넷에서 신청했지만, 이제는 고용 24에서 구직신청을 해야 합니다.

 

신청 방법

1) 고용 24 홈페이지 접속 후 로그인 → ‘구직신청’ 클릭

2) 인적사항, 학력, 희망 직종, 지역, 희망 임금 등 기본 정보 입력

3) 구직 신청 여부 ‘공개’ 설정 (연락처는 선택 가능)

 

자기소개서는 작성하지 않아도 되고, 기존 이력서가 있다면 불러와서 퇴사 전 경력까지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구직 신청은 실업급여 신청을 위한 필수 조건인, 재취업의 의지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고용24 홈페이지에서 구직신청 완료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
실업급여 수급을 위한 구직등록 완료 화면 – 고용보험 필수 절차

Step 4. 실업급여 온라인 교육 수강 

고용 24에서 구직신청을 완료한 후에는 실업급여 수급을 위한 온라인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교육내용 및 유의사항

  • 고용 24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메뉴에서 수강
  • 총 9개의 동영상 강의를 약 35~40분간 시청해야 함
  • 각 강의가 끝나면 ‘다음’ 버튼을 수동으로 클릭해야 다음 강의로 넘어감
  • 음소거 또는 30분 이상 비활동 시 수강 무효 처리될 수 있음
  • 모든 강의 시청을 완료하면 상태가 '이수'로 변경됨
  •  수료증은 PDF로 출력이 가능하나, 실업급여 신청에 꼭 필요하지는 않음.

교육 수강 후 14일 이내 고용센터에 방문해야 유효하니, 방문 일정을 고려해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Step 5. 고용센터 방문 신청 : 수급자격 신청서 제출

모든 온라인 절차가 끝나면, 수급자격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임금체불, 직장 내 괴롭힘 등 정당한 사유로 자진퇴사한 경우에는 온라인 제출이 제한되므로 직접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해야 합니다.  이직 사유의 정당성을 직접 심사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권고사직, 계약 만료, 해고 등 비자발적 이직인 경우 고용 24에서 수급자격 신청서까지 온라인으로 제출이 가능합니다. 저는 임금체불로 인한 자진퇴사이므로 고용센터를 직접 방문해서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임금체불 실업급여 제출 서류

1) 신분증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2) 급여 입금 내역서 : 급여 통장 사본, 거래 내역서

3) 임금체불 확인서 : 임금 체불 증빙용. 회사 직인 필수

4) 급여 명세서 : 실제 체불 금액과 기간 확인용

5) 복지원, 휴직원 : 육아휴직 후 복직 등 특별 사유가 있는 경우(선택사항)

 

모든 서류를 제출하고 나면 1차 실업인정 교육 일정에 대한 안내를 해줍니다.


마무리 

실업급여 신청은 절차가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하나씩 차근히 준비하면 어렵지 않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임금체불처럼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당당히 권리를 행사하시길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Q&A)

Q. 임금체불로 자진퇴사해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A. 네. 이직 사유가 '임금체불(코드 02)'로 확인되고, 고용보험 가입기간 등 조건이 충족되면 수급이 가능합니다.

 

Q. 실업급여 신청을 온라인으로만 할 수 있나요?
A. 권고사직, 계약만료 등 비자발적 이직의 경우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지만, 임금체불 등 정당한 사유의 자진퇴사는 고용센터 방문이 필수입니다.

 

Q. 구직신청 시 자기소개서도 꼭 작성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구직 신청은 이력서만으로도 가능하며, 자기소개서는 선택 사항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임금체불 자진퇴사, 실업급여받을 수 있나? 조건·서류 총정리

 

임금체불 자진퇴사,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 조건·서류 총정리

임금체불로 자진퇴사한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  자진퇴사라도 임금체불은 정당한 이직사유로 인정되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moms-economy.com

육아로 자진 퇴사하면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최신 기준)

 

육아로 자진 퇴사하면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최신 기준)

퇴사를 고려하는 부모님들에게 실업급여는 큰 경제적 지원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육아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일을 그만둬야 한다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자진 퇴사를

moms-econom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