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사준비2

2025 실업급여 신청방법 총정리: 고용24 구직신청부터 고용센터 방문까지 실업급여는 퇴사 후 반드시 고용24 구직등록부터 고용센터 방문까지 절차를 따라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실업급여 신청 과정을 5단계로 정리해드립니다. 실제 임금체불 사례를 바탕으로, 구직신청, 온라인 교육, 수급자격 신청까지 상세히 안내합니다. 1. 실업급여 신청 전 자격 상실 신고 확인 방법먼저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털서비스에서 고용보험 상실 신고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접속 :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털서비스' 홈페이지경로 : 개인 → 일반근로자 → 자격 신고현황상태 : ‘승인’ 표시가 되어 있어야 신청 가능 고용보험 상실 신고는 회사(사용자)가 처리하기는 때문에, 퇴사자는 직접 등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퇴사 후 일정 기간이 지나도 상태.. 2025. 3. 25.
임금체불 자진퇴사,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 조건·서류 총정리 임금체불로 자진퇴사한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 자 진퇴사라도 임금체불은 정당한 이직사유로 인정되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저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실업급여 수급 조건, 준비 서류, 고용센터 상담 내용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1. 실업급여 기본 수급 요건실업급여(구직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비자발적인 사유로 이직하고, 재취업을 위한 활동을 하는 경우에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수급 요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비자발적 퇴사 : 해고, 권고사직, 계약 만료 등 본인의 의사와 무관한 사유2) 고용보험 가입기간 : 이직 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 피보험일 수 180일 이상※ 피보험일 수란 실제 고용보험료가 납부된 근무 일수를 의미합니다. 초단시간 근로자.. 2025.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