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부부 대신 조부모가 아이를 돌보고 있다면, ‘조부모 돌봄 수당’ 대상자일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 서울시, 경기도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조부모가 손주를 돌보는 경우 일정 수당을 지급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부모 돌봄 수당의 신청기간, 지원조건, 소득 기준, 지원금액, 신청방법까지 지역별로 정리해 드립니다.
조부모 돌봄 수당이란?
조부모 돌봄 수당은 만 24개월~48개월 미만의 아동을 조부모 또는 외조부모가 직접 돌보는 경우, 일정 금액의 수당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다만, 이 제도는 아직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것은 아니며, 지역에 따라 시행 여부와 신청 조건, 지급 금액 등이 다릅니다. 따라서 거주 중인 시, 군, 구에서 해당 제도를 운영 중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시 조부모 돌봄 수당 (2025년 기준)
1. 신청 대상
- 서울시에 거주 중인 가정
- 만 24개월 이상 ~ 48개월 미만 아동
- 부모가 맞벌이, 한부모, 장애, 육아 공백 상황일 경우
- 조부모(또는 외조부모)가 서울시 거주, 만 60세 이상, 주 40시간 이상 돌봄이 가능한 경우
2. 소득 조건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만 신청 가능
- 예: 4인 가구 기준 약 813만 원 이하 (2025년 기준)
- 소득 판단 기준은 건강보험료 납부액이며, 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 모두 해당
3. 지원 금액
- 아동 1인당 월 45만 원
- 둘째 이상은 최대 60만 원까지 가능
4. 지급 기간
- 돌봄 대상 아동이 만 24개월부터 만 48개월 미만까지
- 최대 24개월(2년) 간 지급 가능
- 단, 중간에 어린이집 입소, 육아휴직 사용 등으로 돌봄 조건이 변동되면 수당 중단
5. 신청기간
- 매월 1일 ~ 10일
- 신청은 거주지 동 주민센터 또는 서울시 육아지원포털에서 가능
6. 제출 서류
- 신청서, 가족관계증명서,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 부모 재직증명서, 조부모 통장사본, 주민등록등본 등
경기도 조부모 돌봄수당 (가족 돌봄 수당)
1. 대상 지역 (2025년)
- 현재 화성시, 파주시, 광주시, 용인시, 오산시 등 11개 시군에서 시범 시행
2. 신청 조건
- 경기도에 거주 중인 만 24~48개월 미만 아동을 둔 가정
- 부모의 육아 공백이 인정되고, 조부모가 직접 주 40시간 이상 돌봄 하는 경우
3. 소득 기준
- 일부 시군은 소득 제한 없음
- 일부 지역은 중위소득 100~150% 이하 기준 적용
- 지자체마다 상이하므로 반드시 해당 시청 또는 경기민원 24에서 확인 필요
4. 지원 금액
- 월 30만 원 내외, 지역별로 차이 있음
5. 지급 기간
- 대부분 만 24개월 ~ 48개월 미만 아동까지 지급
- 지역에 따라 최대 24개월, 일부는 12개월 한정 지원
- 정기적으로 자격 재심사 또는 연장 신청 필요
6. 신청방법
- 지자체 복지 포털 또는 방문 신청
- 경기민원 24 온라인 접수 가능
자주 묻는 질문
Q. 조부모 수당과 양육수당 두 가지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 두 혜택을 동시에 받을 수는 없습니다. 조부모 돌봄 수당은 양육수당 대신하여 지원받는 것입니다. 조부모 돌봄 수당을 신청하려면, 먼저 수급 중인 양육수당을 중단해야 합니다. 이 두 제도는 동일한 목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Q. 조부모가 외할머니나 외할아버지인 경우에도 신청이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조부모 수당은 4촌 이내 혈족이라면 외조부모도 포함됩니다. 중요한 것은 실제로 아이를 돌보고 있는지가 확인되는 것이며, 이를 충족하면 외조부모 역시 지원 대상자로 인정됩니다.
Q. 맞벌이 조건은 어떻게 증명하나요?
A. 부모 둘 다 재직증명서 또는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제출해야 합니다. 부모가 프리랜서로 일하고 있다면 프리랜서 활동 증빙자료를 추가로 제출해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조부모 돌봄수당은 조부모의 무급 육아노동을 합당하게 인정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시행되는 제도입니다. 이 정책은 맞벌이 가정과 육아 공백을 겪고 있는 부모들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소득 조건과 지역별 차이가 존재하므로 사전에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서울시와 경기도를 비롯해 광주, 울산, 경상남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등 포함한 여러 지자체가 해당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므로, 신청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육아로 인해 자진 퇴사를 하고 조부모가 아이를 돌봐줘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육아 퇴사 실업급여, 조부모가 돌봐줘도 받을 수 있을까?]를 확인해 보세요.
- 육아 단축기가 무엇이고 실제 급여 대비 실수령액은 얼마인지 궁금하다면, [육아기 단축근무 실수령액 계산법! 연봉별 비교 (2025년 최신)]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