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세제개편안이 발표되면서 '감액배당'도 배당소득세 대상이 됩니다.
그렇다면 감액배당이란 무엇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감액배당 뜻부터 세금 부과 기준, 실제 사례, 그리고 투자자가 취할 전략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감액배당이란? 기본 개념 쉽게 이해하기
감액배당은 기업이 이익잉여금 대신 자본준비금을 활용해 주주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이익잉여금을 지급하는 일반 배당과 달리 자본을 환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소득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어 비과세였습니다.
✅ 일반 배당 vs 자본 환급 차이점
- 일반 배당: 회사 수익 → 주주에게 지급 → 배당소득세 과세
- 자본 환급: 회사 자본금 → 주주에게 환급 → 2024년까지 비과세
2025 세제개편안 핵심: 감액배당 과세 도입
이번 세제개편안에는 기업이 자본금을 줄여서 주주에게 배당금을 지급할 때,
그 배당금이 주주가 해당 주식을 살 때 들인 돈(취득가액)을 넘는 경우에는 그 초과 금액에 대해 배당소득세를 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 감액배당 세율 변화
구분 | 2024년까지 | 2025년 부터 |
과세여부 | 비과세 | 과세 대상 |
세율 | 0% | 분리과세 최대 35% |
종합과세 | 없음 | 최대 49.5% |
감액배당 기업 현황: 130개사 급증
2022년 이후 감액배당 기업 수는 꾸준히 증가해 왔습니다.
2025년에는 130개로 증가해 2022년 대비 약 4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일부 고배당주와 금융지주사들이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 대표 감액배당 기업
- 메리츠금융지주: 6,890억 원
- 두산밥캣: 2,709억 원
- 하나투어: 1,131억 원
- HD현대인프라코어: 829억 원
- 케이카: 726억 원
메리츠금융지주가 두 번에 걸쳐 6890억 원으로 가장 많은 배당액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두산밥캣(2709억 원), 하나투어(1131억 원), HD현대인프라코어(829억 원), 케이카(726억 원) 등으로 많았습니다.
감액배당 주식, 투자해도 될까? 세후 수익률 꼭 확인
2025년부터 감액배당에 과세가 적용되면, 고배당처럼 보이던 기업의 실질 수익률이 크게 낮아질 수 있습니다.
✅ 감액배당 수익률 계산 예시
✔ 1,000만 원 배당 수령 시
- 2024년: 1,000만 원 전액 수령 (비과세)
- 2025년 분리과세(35%): 650만 원 수령
- 2025년 종합과세(49.5%): 505만 원 수령
세후 수익률 감소폭이 최대 50% 수준까지 나타날 수 있어 투자 전략 재검토가 필수입니다.
또한 일부 기업은 해당 전략을 중단하거나, 일반 배당으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배당 정책 변화 가능성도 함께 체크해야 합니다.
결론: 감액배당, 무세금 배당 시대 종료
2025년 세제개편안으로 감액배당도 일반 배당처럼 과세되면서, '무세금 배당' 전략이 사실상 불가능해졌습니다.
✅ 투자자 대응 방안
- 감액배당 기업의 세후 수익률 기준 재평가
- 일반 배당 중심 기업으로 포트폴리오 조정
- 배당소득세 절세 전략 수립
감액배당 주식을 보유 중이거나 신규 매수를 고려 중인 투자자라면, 반드시 세금 구조 변화에 따른 전략 재정비가 필요합니다.
💡 2025 세제개편안 핵심 내용이 궁금하다면?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이동평균법 vs 선입선출법 비교: 증권사별 절세 전략 총정리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이동평균법, 선입선출법, 총평균법 중 어떤 방식으로 계산하느냐에 따라 수백만 원까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투자자들이 자신이 사용하는 증권사의 계산 방
moms-economy.com
배당받고 바로 매도해도 괜찮을까? 배당락일과 단기 배당 전략의 진실
배당금을 받기 위해 배당기준일 직전에 주식을 사고, 배당락일에 바로 매도해도 괜찮까요? 배당금을 노리고 단기 매매를 시도하는 방법은 얼핏 보면 단순한 전략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moms-economy.com
ISA 계좌 배당주 추천 | 고배당주 vs 성장형 배당주 비교
ISA 계좌 배당주는 절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투자 전략 중 하나입니다. 배당주 투자는 매년 일정한 현금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은퇴 준비나 장기 투자에도 유리합니다. 특히 ISA와
moms-economy.com